KBS 폐지의 칼바람을 1TV도 피하지 못했습니다. '홍김동전', '옥탑방의 문제아들'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는 '역사저널 그날'이 갑작스럽게 문을 닫았습니다.

지난 11일 방송된 KBS 1TV '역사저널 그날' 455회 말미에는 종영에 대한 알림이 있었습니다. 이날 방송을 끝으로 '역사저널 그날'이 잠시 휴식기를 갖고 새롭게 단장해 돌아오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설연휴 기간을 맞아 이날 방송은 성씨의 유래와 다양한 본관에 대한 특집으로 구성됐던 터입니다. 한복을 입고 가족적인 명절 분위기를 내던 출연진은 엔딩에 이르러 숙연한 분위기 속에 울컥했습니다.

제작진은 마무리를 위해 '역사저널 그날'의 역사를 되짚었습니다. 지난 2013년 10월 26일 첫 방송을 시작한 '역사저널 그날'에서 PD 55명, 작가 56명 FD 10명, 75명의 패널들이 거쳐갔다고 알린 것입니다. 마지막 녹화 전 분장실의 분위기는 평소와 같이 화기애애하기 위해 애쓰는 출연진과 제작진의 분위기가 역력했습니다. 역사 강사 최태성이 "이렇게 분장을 받은지 10년이 흘렀다. 앞으로도 새로운 버전의 '역사저널 그날'을 기대한다"라고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뒤이어 스튜디오에서 출연진은 마지막 소감을 나눴습니다. 패널로 함께 한 배우 이시원은 "역사를 뜨겁게 사랑할 기회를 주셔서 행복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허준은 "사명감 같은 게 생겼다"라며 마지막 주제였던 본관과 성씨에 대해 언급하며 "'역사저널' 출신의, '역사저널' 본관을 가진 사람으로 열심히 사명감을 갖고 살아가겠다"라고 재치있게 말해 박수를 받았습니다.

연구진으로 함께 한 이익주 교수는 '역사저널 그날'에 대해 "여러 역사 프로그램 가운데 역사 왜곡을 가장 안 하려고 노력하는, 역사 왜곡을 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진 프로그램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연구자로 애정을 갖고 함께 해 왔다. 끝이 있으면 다시 시작하는 게 있기 마련이다. 잠시 쉬고 더 좋은 모습으로 다시 시작되길 바라겠다"라고 응원했습니다.

MC인 최원정 아나운서는 "언젠가 오겠지 했는데 끝인사를 하는 날이 오늘"이라며 남다른 감회를 털어놨습니다. 그러나 그는 "2013년부터 10여 년 마주한 455번의 메시지, 그리고 역사의 무게"라며 잠시 말을 잇지 못했고, 결국 눈물을 보였습니다. 감정을 추스른 그는 "그 무게, 잊지 않고 가슴에 새기면서 조만간 더욱 성숙한 모습으로 다시 여러분 앞에 서겠다"라고 말하며 출연진과 함께 박수를 쳤습니다.

'역사저널 그날'은 우리 역사의 커다란 물줄기가 바뀐 결정적인 하루 '그날'을 주제로 삼아 이야기로 풀어내는 인포에인먼트 프로그램입니다. 10년간 KBS 1TV 간판 프로그램으로 시청자 여러분들과 함께 울고 웃었습니다. 지난 방송까지만 하더라도 설특집을 맞아 본관, 성씨에 대한 소개가 있었을 뿐 '종영'에 대한 어떠한 예고도 없던 상황입니다. 갑작스러운 종영 소식이 보는이들에게 당혹감을 넘어 황당함을 안겼습니다.

표면상 '역사저널 그날'의 종영은 '시즌 종영'을 표방하고 있긴 합니다. 455회 말미에서도 출연진이 거듭 "새롭게 돌아올 것"을 언급했고, 제작진의 자막으로도 '귀환'이 암시됐습니다. 실제 '역사저널 그날'이 지난 2016년 12월 시즌 종영했다 이듬해 6월 새 시즌을 시작한 바 있고, 이후에도 한 차례 시즌 종영 후 2018년 9월 시즌 3를 시작해 이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KBS 내부의 분위기를 고려하면 '역사저널 그날'의 이번 종영이 '시즌 종영'으로 귀환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앞서 KBS 2TV 예능 프로그램 '홍김동전'과 '옥탑방의 문제아들' 등이 잇따라 지난달 칼을 들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KBS의 주요 재원인 수신료를 두고 폐지, 정상화 등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역사저널 그날' 또한 재정압박의 칼날을 피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시각이 줄줄이 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KBS 측은 별도의 공식입장은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당장 '역사저널 그날'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시즌 종영이나 폐지는 커녕 '종영'에 대한 어떠한 안내도 없는 실정입니다. 첫 시즌 종영 당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를 안내했던 것과는 다른 행보입니다. 결국 KBS 내부 사정의 흉흉한 칼바람을 '역사저널 그날'까지 맞게된 것일까요? KBS가 내건 '수신료의 가치' 실현이 점점 더 요원해지고 있습니다.

방송가는 봄과 가을에 개편합니다. 라디오, 교양, 예능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들이 사라지고, 생기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를 무사히 넘기는 것이 정규 프로그램의 숙명입니다. 예능에서 우스갯소리로 "봄이 두렵다"라고 말하는 일도 종종 있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봄과 가을도 아닌 찬바람 부는 겨울 방송가에서 잇따라 폐지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개편철도 아닌데 칼바람이 부는 방송가의 속사정은 과연 무엇일까요?

① KBS 예능 줄줄이 폐지, 눈물로 뜨거운 안녕

지난해 KBS는 '홍김동전'과 '옥탑방의 문제아들'의 폐지를 결정했습니다. 지난 2022년 첫 방송돼 지난 18일 종영한 '홍김동전'은 다소 낮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OTT 플랫품 웨이브에서 KBS 비드라마 1위에 이름을 올리는 등 OTT에서 높은 성과를 냈습니다. 이에 힘입어 제280회 이달의 PD상 TV 예능 부문을 수상했고, 지난해 연말 시상식에서는 3관왕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시청률의 벽은 높았고, 결국 폐지의 아쉬움을 안게 됐습니다. 팬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KBS는 "'홍김동전'은 안타깝게도 폭넓은 시청층을 만들어내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홍김동전'의 폐지 결정은 단순히 시청률뿐만이 아닌 수신료 분리 징수 등으로 어려워진 공사의 재정 상황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관찰과 연애 리얼리티 일변도의 예능 포맷 흐름에서 탈피해 웃음에 초점을 맞춘 기획으로 매주 다양한 포맷을 시도했고, 그 실험적 도전에 대해 높은 병가를 받았다. 그 결과 '홍김동전'은 열성 시청층을 확보했다"라고 '홍김동전'의 성과를 인정했습니다.

'옥탑방의 문제아들' 역시 지난 17일 막을 내렸습니다. '옥탑방의 문제아들'은 지난 2018년 첫 방송돼 5년 동안 시청자들과 만나왔습니다. 시청률 역시 3~4%로 안정적인 기록을 이어갔지만, 결국 시청자들과 마지막 작별 인사를 선언했습니다. 마지막회에서 김종국은 "급하게 폐지된다고 하니 받아들이기 힘들었지만 좋은 기억이었다"라고 했고, 이찬원은 "이별은 익숙해지려고 노력하는데 익숙해지지 않더라"라며 "시청해주셔서 감사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렇듯 최근 KBS에서는 때 이른 폐지가 잦았습니다. 이는 수신료 분리 징수로 3000억원대의 누적 적자를 겪고 있는 KBS의 현실에서 기인합니다. 지난해 11월 새로 취임한 박민 사장이 경영 개선을 위해 대대적으로 개편 및 인사 이동을 진행하면서 시사 프로그램 '더 라이브' 폐지를 시작으로 앵커들까지 교체한 상황입니다. 보도국의 개편을 시작으로 예능국까지 폐지 바람이 분 것입니다. 더 이상의 재정 악화를 막겠다는 KBS의 의지입니다.

② SBS 26년 장수 프로그램도 도마 위

SBS '순간 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도 폐지 위기에 처했습니다. 1998년 5월 6일에 첫 방송된 '세상에 이런 일이'는 26년 동안 자리를 지키며 SBS 교양국의 간판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입니다. 그러나 SBS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SBS는 프로그램이 오래된 인상을 주고, 경쟁력이 없다는 이유로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상에 이런 일이'는 2%대의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당 소식이 알려지자 PD들의 반발이 거세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시사교양본부 소속 PD들은 SBS 내부 게시판에 '세상에 이런 일이' 폐지를 반대한다는 글을 게재했습니다. PD들은 "지금은 힘을 모아 '세상에 이런 일이'를 지켜야 할 때"라며 "본부장과 국장, CP(책임프로듀서)들은 시사교양본부의 상징과 같은 이 프로그램 폐지를 막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라고 적었습니다.

SBS가 폐지의 칼을 빼 들은 이면에는 영업 이익 감소와 SBS 모기업인 태영건설의 자구책이 있습니다. TY홀딩스는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작업)과 관련해 필요시 SBS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모기업의 워크아웃은 SBS에도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는 해석입니다.

③ 폐지만이 답일까?

코로나 팬데믹 이후 OTT와 유튜브 시장이 커지면서 방송가 위기론은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광고 수익 적자, 경영 악화, 영업 이익 감소 등 몸살을 앓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방송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시청률이 낮은 프로그램의 폐지일 것입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성패가 오직 시청률로만 점쳐지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OTT와 유튜브 시장이 커지면서 OTT 수익, 유튜브 및 네이버 클립 순위 등 화제성을 점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실제로 '홍김동전'은 웨이브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젊은 시청 층의 지지를 받은 바 있습니다.

시청자들의 목소리도 무시해선 안된다는 분위기입니다. '홍김동전'의 팬들은 트럭 시위까지 펼치며 폐지를 반대했고, '세상에 이런 일이'의 애청자인 꼬마 팬은 손편지를 통해 "방송국 아줌마, 아저씨 '세상에 이런 일이' 없애지 마세요. 제가 제일 좋아하는 프로그램이에요"라고 표했습니다. 좋은 콘텐츠는 결국 시청자들의 선택을 받기 마련입니다. 또 무턱대고 시청률로만 평가하기에 요즘 시대가 바뀌었습니다. 예전처럼 온 가족이 둘러앉아 TV를 시청하는 시대가 아니란 의미입니다. 콘텐츠의 홍수 시대에 방송사가 추구해야 할 길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