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 9일간 이어지는 설 황금연휴, 서울에서 가족들과 새해운세부터 공예체험까지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습니다.

오늘(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연휴 맞이 시립 문화시설 곳곳에서 다채로운 설 특별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서울 대표 전통 문화공간인 남산골한옥마을과 운현궁은 전통 세시풍속을 가까이서 즐길 수 있는 설맞이 행사를 내일(28일)부터 30일 오후 5시까지 펼칩니다.

남산골한옥마을은 2025 남산골 설축제 '새해 꽃등'을 개최합니다. 연희·국악 공연과 전통 놀이 체험, 떡 만들기, 공예 체험 등이 열립니다. 설날 당일인 29일 수요일 12시에는 김용필의 진행으로 '설 차례상 이야기' 강연도 펼쳐집니다.

운현궁은 '2025 운현궁 운수대통 설맞이' 행사를 엽니다. 새해의 온정을 담은 떡국 나눔부터 새해 운세보기, 지신밟기 등 한 해의 행운을 기원하는 풍속행사와 함께 가야금 병창, 마술놀이 등을 선보입니다.

서울시 대표 박물관도 설맞이 특별 행사를 마련했습니다. 서울역사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은 공연과 체험, 놀이가 가득한 행사를 열고 서울공예박물관은 설 연휴 방문이벤트로 과제를 수행하면 선물을 주는 프로그램도 진행합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30일 오후 12시부터 오후 4시까지 '2025년 설맞이 한마당' 행사를 엽니다. 행사 시간 내내 푸른 뱀 키링, 새해 토퍼, 가오리 연 만들기 등 공예 체험과 함께 널뛰기, 뿅망치 게임 등 전통과 추억의 놀이를 즐길 수 있습니다. 박물관 광장에서는 1시부터 30분간 사물놀이 '판굿'과 사자놀이 공연이 펼쳐집니다.

한성백제박물관은 30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한성백제박물관 설날 박물관 큰잔치'를 엽니다. 오전 11시와 오후 2시에는 흥겨운 소고춤 공연을 펼치고, 행사 기간 내내 새해덕담 카드쓰기, 복주머니 만들기, 떡·쌀강정 만들기 등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놀이마당에서는 투호, 활쏘기, 제기차기, 윷놀이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서울공예박물관은 오늘(27일)부터 30일까지 특별 방문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박물관 소장품 중 행운과 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이 그려진 소장품을 찾아 사진을 찍고 직원에게 보여주면 선물을 증정합니다.

시는 설 연휴 동안 서울시립미술관, 세종문화회관 등 주요 문화시설을 휴무 없이 운영합니다. 관람할 수 있는 공연·전시로는 서울시립미술관 '박광진:자연의 속삭임' 전시, 세종문화회관 뮤지컬 '명성황후' 등이 있습니다.

설 연휴 관람 가능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각 기관 누리집이나 서울문화포털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내 9개 공원에서도 여가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서울타워 앞 팔각정에선 내달 2일까지 '빛의 연하장' 전시가 진행됩니다. 4000개의 LED 종이학과 한지로 특수 제작한 해치 조형물을 볼 수 있습니다.

남산공원에서는 연날리기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또 서울숲에선 새해 소원 쓰기 행사를 마련했습니다. 대나무 모빌 세트를 가족당 1세트씩 나눠주고 새해 소원을 적어 가져갈 수 있게 합니다.

서울시 지원금이 끊길 상황에 처했던 TBS(교통방송)가 5개월이라는 시간을 확보했습니다. 일단 기사회생은 했지만, 여전히 앞날은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24일 서울시의회(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의회는 지난 22일 제321회 정례회 제6차 본회의를 열고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출연 동의안'을 가결했습니다.

개정조례안에는 TBS에 예산지원을 중단하는 지원 폐지 조례 시행일을 내년 1월 1일에서 6월 1일로 5개월 유예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시는 이 기간 동안 출연금 규모를 92억 9769만원으로 책정했습니다. 급여, 퇴직급여, 조기희망퇴직수당 등 인건비가 72억9552만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금액은 추후 추가경정예산과 서울시의회 심의과정에서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TBS에 이상 기류가 흐르기 시작한 것은 작년 여름부터입니다. 제11대 시의회 다수를 차지한 국민의힘은 개원 첫 날인 지난해 7월 4월 소속 의원 76명 전원 명의로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안'을 발의했습니다. 이들은 TBS가 전 정부에서 편향적이었다는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다수당의 힘은 막강했습니다. 2024년 1월 1일부터 TBS 예산지원을 중단한다는 내용의 조례안은 그해 11월 15일 서울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TBS는 전체 예산의 70% 가량인 약 300억원을 서울시 재정에 의존하는 구조로 운영됩니다. 2023년 TBS 출연금은 232억으로 전년보다 88억원 줄었습니다. 지원 폐지가 예정됨에 따라 2024년 출연금은 편성조차 되지 않았습니다.

TBS가 서서히 벼랑 끝에 몰리자 서울시는 뒤늦게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시는 지난달 6일 TBS의 독립경영을 위한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조례 시행을 내년 7월 1일로 6개월 간 한시적으로 연기해달라고 시의회에 요청했습니다. 강철원 시 정무부시장은 지난 15일 시의회를 찾아가 여당 의원들에게 협조를 구하기도 했습니다.

시의회는 시의 반응에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습니다. 유예기간 동안 별다른 노력을 보이지 않다가 정작 시기가 다가오니 움직인다는 것이었습니다.

지난 22일 올해 마지막 본회의 직전까지도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던 지원 연장건은 전례가 드문 본회의 중 원포인트 상임위원회를 거쳐 가까스로 가결됐습니다. 지원 기간은 시가 처음 요청한 6개월에서 1개월 줄었습니다.

공은 TBS로 넘어갔습니다. 시와 시의회는 이번이 최종 지원이라며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 TBS는 지난달 27일 정태익 대표이사와 박노황 이사장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민영화 추진의 공식 선언과 함께 대대적인 조직 재정비를 예고한 바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