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너무 비싸기도 하고 집에 먹을 애도 없어요"
'흰우유'를 중심으로 우유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자 우유 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신제품 출시로 소비자들의 우유 소비를 촉진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원유 소비량은 415만3000t으로 전년 대비 3.6% 감소했다. 1인당 원유 소비 가능량도 전년 대비 3.7% 감소한 80.8㎏으로 조사됐다. 우유 소비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인구 구조 변화다. 어린이와 청소년 인구가 줄어들고, 학교 급식 외 우유를 마시는 습관이 자리잡지 않았다. 전체 우유 소비량 중 초·중·고 급식을 통한 소비 비중은 여전히 30% 이상이다. 아침에 시리얼 등과 우유를 마시는 이들도 줄었다.
반면 치즈·버터·요거트 등 가공유 소비는 늘고 있다. 1인 가구 증가로 소포장 제품 수요가 늘고, 간편식·홈카페 문화가 확산됐기 때문이다. 서울우유가 26일 '서울우유 멜론'을 출시한 것도 이 같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번 제품은 풍부한 멜론 과즙과 국산 우유의 고소함이 조화를 이뤘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서울우유가 맛 라인업을 확대한 것은 지난 2021년 '민트초코우유' 출시 후 4년만이다.
‘서울우유 멜론’은 국내에서 흔히 유통되는 머스크 멜론과 달리 주황색의 과육과 달콤한 향으로 고급스러운 맛을 느낄 수 있는 칸탈로프 멜론을 사용했다. 단맛이 과하지 않다는 게 특징이다. 서울우유는 우유 소비가 줄어드는 가운데서도 다양한 제품 라인업으로 지난해 매출 2조1247억원을 달성,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우유 시장 점유율도 44.9%로 압도적이다.
이승욱 서울우유협동조합 우유마케팅팀 팀장은 "색다른 맛 경험을 찾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칸탈로프 멜론을 활용한 멜론맛 우유를 출시하며 가공유 라인업을 확대했다"며 "서울우유만의 차별화된 원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심 辛라면, 전세계를 사로잡은 한국인의 매운맛! (1) | 2025.03.27 |
---|---|
역대 최악 산불… 엉성한 정부 대응체계 완전히 뜯어고쳐야 (0) | 2025.03.27 |
'홈플런' 끝내고 '고객 감사제'… 홈플러스, 3차 현금 확보 돌입 (0) | 2025.03.26 |
서울시, 대한적십자사 등 공동TF 구성... 산불 피해 총력지원 (0) | 2025.03.26 |
뉴스 쏙:쏙 - 산불 확산...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재난 위기경보 '주의' 발령 外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