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급식소, 음식점 등 지도·점검 강화, G-TV 개인위생 홍보 등 추진
13일 도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기준 도내 식중독 발생 건수는 72건(환자 수 66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8건(환자 수 820명)에 비해 50%나 증가했습니다. 2018~2022년 도내 발생 식중독 건수는 264건으로 한 해 평균 52.8건이며, 월별 식중독 발생은 5월(27건), 6월(23건), 7월(33건), 8월(31건), 9월(31건) 등 여름철에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식품안전정책지원단의 분석 결과, 경기도는 전국 대비 인구의 26%가 몰려 있고, 전국 대비 음식점은 21%, 집단급식소는 14%에 달합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5년간 전국 식중독 사고 가운데 경기도 비중이 19.3%에 달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세균성 식중독(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등)은 여름철(6~8월), 바이러스성 식중독(노로·로타바이러스)은 겨울철(12~2월) 발생률이 높습니다. 여름철(6~8월)에는 전체 식중독 발생의 33%가 집중됐습니다.
이에 도는 식중독 발생 예방을 위해 △식중독 예방 일제 점검 △전통시장 위생관리 및 식중독 예방 교육 및 홍보 △식중독 발생 시 신속 대응을 위한 모의훈련 △G-버스를 통한 식중독 예방 홍보영상 송출 등을 추진합니다.
특히 이달 말까지 식중독 발생 시 대처가 어렵고 대규모 환자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도내 사회복지시설 내 급식시설, 산후조리원 급식시설 1444개소를 일제 점검합니다. 점검 내용은 식재료 보관 기준 준수 여부, 소비(유통)기한 경과 제품(원료) 사용 여부, 식품의 위생적 취급 및 기구 세척‧소독 등입니다.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는 7월에는 고속도로 휴게소, 놀이시설, 해수욕장, 워터파크 주변 음식점과 배달 전문 음식점을 집중 점검합니다.
이와 함께 7월부터 G-버스에 식중독 예방 6대 수칙인 △손 씻기 △칼․도마 구분 사용하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식재료․조리기구 세척 소독하기 △보관 온도 지키기 등 식중독 예방 홍보영상을 송출합니다.
인치권 도 식품안전과장은 "여름철 식중독 주요 발생 원인인 살모넬라와 병원성대장균의 예방을 위해 계란과 가금육 취급 시 교차오염에 주의하고, 고온·다습으로 세균 증식의 우려가 있는 식품은 완전히 익혀 먹기를 당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딤 (0) | 2024.06.14 |
---|---|
"식중독인줄 알았는데"..여름철 꼭 주의해야 할 ‘A형 간염’ (0) | 2024.06.13 |
이번엔 한빛 원전 인근서 지진 발생…원안위는 “이상 없어” (0) | 2024.06.13 |
안성시, 산사태 대책상황실 가동…취약지 105곳 사전 점검 (0) | 2024.06.13 |
잎은 타고 먼지만 풀풀 춘천 감자밭…이른 폭염에 물 줘도 역부족 (1)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