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에 연이은 장맛비로 주민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어제(10일)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오전 9시 기준 충주조정지댐 수위는 64m로 계획홍수위 67m에 3m 차이입니다. 초당 2000톤 정도의 물이 유입되는 상태입니다.

충주조정지댐은 충주댐과 괴산댐에서 방류한 물을 관리하는 댐으로 한강 홍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충주댐은 전날 오후부터 수문 4개를 열고 초당 1100톤의 물을 방류하고 있습니다. 괴산댐도 초당 553톤의 물을 달천강으로 흘려보내고 있습니다.

지난 6일부터 충주지역에는 평균 141㎜의 비가 쏟아졌습니다. 교현안림동은 200㎜에 달합니다. 앞으로 충주댐이나 괴산댐 유역에 비가 더 내린다면 달천강 주변 침수 피해가 재현될 수 있습니다.

지난해 7월에는 괴산댐이 월류해 하류 지역인 충주 살미면, 대소원면, 중앙탑면, 봉방동, 칠금동, 달천동 등 6개 지역 일부가 침수돼 주민 6400여 명이 대피하기도 했습니다.

괴산댐은 홍수 조절 능력이 제한적입니다. 유역면적(671㎢) 대비 저수용량(1533만 톤)이 적어 댐 수위 증가 속도가 빠르고, 계획홍수위 도달 시간이 짧습니다.

이런 이유로 괴산댐 방류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충주에서 근본적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달천동의 한 주민은 "현재 상황에서 비가 더 내리면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라며 "올해도 괴산댐이 넘칠까봐 걱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충주는 2020년과 2023년 집중호우로 비 피해가 심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