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청권에 시간당 최대 100㎜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각종 인명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물난리가 난 지역에 제때 댐을 건설했다면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15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과거 충청권엔 상촌댐과 지천댐 등 댐 2개 건설이 예정됐습니다. 해당 댐은 2012년 이명박 정부의 '댐 건설 장기 계획'에 따라 추진됐다가 2018년 문재인 정부의 '국가 주도 댐 건설 중단' 발표 등을 계기로 건설이 무산됐습니다.

상촌댐은 총저수량은 1900만t, 홍수 조절량은 300만t으로 충북 영동군 초강천 부근에 지어질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상촌댐 건설은 4대강 사업 이후 대규모 토목 공사를 반대한 환경 단체와 주민들의 반대로 중단됐습니다.

상촌댐 예정지였던 영동군엔 지난달 23일부터 현재까지 충청권 평년 장마 기간 전체 강수량 360.7㎜보다 많은 양인 428.5㎜의 비가 내려 하천이 범람해 1명이 실종되고, 경부선 영동선 기차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지천댐은 충남 청양에 총저수량 2100만t, 홍수 조절량 400만t으로 계획됐다가 무산됐습니다. 지천댐의 영향권인 충남 부여에선 지난 8-9일 밤사이 시간당 100㎜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저수지 제방이 붕괴되고 주택 5채가 침수됐습니다. 특히 부여에선 2021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물난리가 났습니다. 지천댐이 예정대로 건설됐다면 지천 수위를 낮추고 제방 붕괴를 막을 수 있었다고 전문가들은 목소리를 높입니다.

환경부는 지난해 홍수를 계기로 10개 안팎의 신규 댐 건설과 리모델링을 추진한다는 입장이지만 아직 대상 지역은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