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도 항상 (새로움에 대해) 고민해서, 무대 연출이든 출연자든 매회 새로움을 보여주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무조건 새로워야 하나, 젊어야 하나, 그것만이 정답이냐 한다면 그렇진 않은 것 같다. 새로운 인물과 내용을 기존 시청자들이 좋아해 주시는 감성과 얼마나 조화롭게 만들어 나가느냐가 매회의 숙제다.”

KBS의 대표 장수 예능인 ‘불후의 명곡’을 연출하는 박형근 PD는 700회를 앞두고 오늘(17일) 서울 영등포구 KBS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고민을 털어놨습니다. 유튜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와의 경쟁 속에서 점차 깊어지는 지상파의 고민이 잘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이 같은 고민은 올해 넷플릭스가 ‘일일 예능’을 시작하면서 더 깊어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일 예능’은 매주 특정 요일마다 각기 다른 예능 프로그램이 한 편씩 공개됩니다. 콘텐츠를 정주행할 수 있도록 전 회차를 한 번에 공개해왔던 넷플릭스가 TV의 문법인 ‘편성’ 시스템을 시도하며 외연을 확장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넷플릭스가 기존의 문법을 탈피하며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는 사이, 지상파 예능들은 잘 만든 지식재산권(IP)의 재생산에 방점을 찍으며 시청자층 확대엔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고정 시청층이 있는 지상파 입장에서 젊은 층의 입맛에도 맞을 법한 새로운 IP를 시도하는 건 위험성이 함께 따라오는 탓입니다.

그래서인지 최근 TV에서 방영되는 예능 프로그램을 보면, 잘 된 IP의 N번째 시즌이거나 10년 이상 된 장수 프로그램이거나, 과거에 인기 있었던 프로그램이 부활한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올해만 해도 지난 1월 MBC ‘라디오 스타’가 900회를 맞았고, KBS 2TV ‘불후의 명곡’도 700회를 앞뒀습니다. 이 밖에도 SBS ‘런닝맨’과 ‘미운 우리 새끼’, KBS 2TV ‘슈퍼맨이 돌아왔다’와 ‘1박 2일’, MBC ‘나 혼자 산다’와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등이 10년 이상 시청자를 만나고 있습니다.

과거 많은 인기를 끌었던 예능들이 최근 다시 방송을 시작하고 있는 것도 눈에 띄는 흐름입니다. KBS는 다음 달 ‘옥탑방의 문제아들’을 종영 1년 3개월 만에 다시 내놓기로 했고, MBC는 지난해 12월부터 ‘선을 넘는 클래스’의 방송을 시작했습니다. 인기 프로그램의 스핀오프(번외작) 형태로 이어가는 ‘푹 쉬면 다행이야’ ‘정글밥 2-페루밥’ 등도 있습니다.

비교적 최근 방송을 시작한 ‘굿데이’(MBC)나 ‘틈만 나면’과 ‘신들린 연애’(이상 SBS) 등도 있지만, 장수 IP들에 비하면 시청률에서 밀리는 게 사실입니다. 장수 예능들이 5% 안팎부터 많게는 10% 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하는 것과 달리, 새로 시작한 예능들은 3% 안팎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방송국들도 안정적이지만 기시감이 드는 길을 택할 것인지, 시청률은 조금 낮아도 2030에게 인기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것인지 사이에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시점에서 지상파들이 넷플릭스처럼 과감한 시도를 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예능은 트렌드에 민감해서 한 번 밀리기 시작하면 구시대적인 프로그램이 되기 십상”이라며 “시청률에 유리하다는 이유로 익숙한 방식의 옛날 프로그램들을 반복하면 플랫폼 자체를 노후화시킨다. 이걸 깨려면 기존의 프로그램들에 새로운 시도를 더해야 한다. 스튜디오를 새로 만드는 식으로 콘텐츠 회사로서 도전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지 않으면 생존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