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산업의 대표 격인 유통업계가 최대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3고(고물가·고환율·고금리)’ 현상에 따른 장기 소비 부진, 이커머스 활성화, 경쟁 심화 등의 악재가 한꺼번에 닥치면서입니다.
오늘(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유통업 매출에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50.6%로 조사됐습니다. 이커머스 1위 쿠팡의 연 매출은 2019년 7조원에서 지난해 40조원을 넘었습니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산업구조 자체는 오프라인 매장과 이커머스가 경쟁하는 구도로 바뀌었습니다.
유통업계는 3고 현상으로 내수 경기가 침체에 빠지자, 직격타를 맞았습니다. 지난해 12월 3일 계엄령 선포 이후 소비는 더 얼어붙었습니다. C커머스 업체들까지 자국의 불황과 관세 전쟁을 피해 넘어오면서, 국내 유통 기업들의 영업은 더 악화하는 양상으로 가고 있습니다.
특히 장기 불황에 고정 자산이 거의 없는 온라인 쇼핑몰들이 유동성 악화에 줄줄이 문을 닫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티몬·위메프(티메프) 미정산 사태로 53만명이 1조 5000억원의 피해를 봤습니다. 1300k(천삼백케이), 바보사랑, 알렛츠 등도 폐업했습니다. 명품 온라인쇼핑몰 발란은 4일 회생절차가 개시됐습니다.
대형마트 2위 홈플러스도 점포 임대료와 금융비용 증가 등으로 고전하다 지난달 4일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했습니다.
대기업 그룹도 이런 불황을 피하지는 못했습니다. 재계 6위 롯데그룹은 지난해 말 ‘유동성 위기설’로 곤욕을 치르고서 비핵심 사업과 유휴자산을 정리하고 주력사업과 신사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구조 개편에 나섰습니다.
애경그룹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그룹의 모태인 애경산업 매각을 검토 중입니다. 적지 않은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 재무 건전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국가 콘트롤타워가 빨리 재가동되지 않으면 ‘도미노 부도’가 업계 전반으로 확산할 수 있다”라고 우려했습니다.
유통업계는 우선 해결될 과제로 각종 규제 개선을 일제히 꼽았습니다. 2011년 제정된 ‘대규모유통업에서의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대규모유통업법)’이 대표적입니다. 대규모유통업법은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출점 규제, 의무휴업, 영업시간 제한 등을 뼈대로 합니다. 소상공인 보호를 목적으로 입법됐으나 이미 유통시장의 대세가 온라인으로 넘어온 만큼 시대에 뒤처졌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쿠팡의 연간 매출이 국내 유통업 사상 최초로 40조원을 넘어선 것은 상징적입니다. 지난해 쿠팡 매출액은 41조 2901억원으로 백화점(40조 6595억원)과 대형마트(37조 1779억원)의 소매판매액을 모두 추월했습니다.
법이 시행된 후 지난 14년간 대형마트를 비롯한 오프라인 유통채널은 매출 부진과 성장 잠재력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업계 일각에서는 지난달 4일 전격적으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국내 2위 대형마트 업체 홈플러스의 몰락도 영업활동을 제한하는 이러한 규제가 일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판매 부진으로 고사 위기에 직면한 면세업계도 제도적 불확실성이 큰 업종 가운데 하나입니다. 사상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지난해 롯데, 신라, 신세계, 현대 등 대형 면세점 4사의 합산 영업손실액은 2776억원에 달했습니다.
업체별로 수익이 나지 않는 점포를 폐쇄하고 희망퇴직 프로그램을 통해 인건비를 절감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실적 반등이 여의찮은 상황입니다. 업계에서는 특허수수료 부과 기준 개선, 인천국제공항 면세구역 임차료 인하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지속해 제기됩니다. 면세업계 한 관계자는 “면세업은 국내 관광·항공산업과도 연계된 만큼 규제 완화를 통해 장기적인 안목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소방본부, 고헌범·박준현 대원 'KBS 119상' 수상 (1) | 2025.04.08 |
---|---|
"CJ 원 포인트로 산불 피해 아이들에 일상 복귀를 선물해 주세요" (1) | 2025.04.08 |
“전에 없던 새콤쫄깃한 젤리음료가 온다!” - 농심, 츄파춥스 사우어코코 출시 (0) | 2025.04.07 |
미얀마 강진 사망자 3500명 넘어… 악천후에 구호 차질 (0) | 2025.04.07 |
12일째 출근 못한 신동호 EBS 사장 "위법한 사장 돌아가라"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