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저널 그날’도 KBS의 흉흉한 칼바람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지난 11일 KBS 1TV ‘역사적인 그날’ 455회 방송 말미 숙연한 분위기 속에 종방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날 방송을 끝으로 ‘역사적인 그날’이 잠시 휴식기를 갖고 새 단장해 돌아오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제작진은 “‘역사적인 그날’이 지난 2013년 10월 26일 첫 방송을 시작해 PD 55명, 작가 56명, 패널 75명이 거쳐갔다”라고 되돌아봤습니다. 역사 강사 최태성은 “이렇게 분장을 받은지 10년이 흘렀다. 앞으로도 새로운 버전의 ‘역사적인 그날’을 기대한다”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패널로 출연했던 배우 이시원은 “역사를 뜨겁게 사랑할 기회를 주셔서 행복했다”라고 했고, 허준은 “사명감 같은게 생겼다”라고 말했습니다. 연구진이었던 이익주 교수는 “여러 역사 프로그램 가운데 역사 왜곡을 가장 안 하려고 노력하는, 역사 왜곡을 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진 프로그램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연구자로 애정을 갖고 함께 해 왔다. 끝이 있으면 시작이 있기 마련이다. 잠시 쉬고 더 좋은 모습으로 다시 시작되길 바라겠다”라고 말했습니다.

MC인 최원정 아나운서는 “언젠가 오겠지 했는데 끝인사를 하는 날이 오늘”이라며 남다른 소회를 털어놨습니다. 최 아나운서는 “2013년부터 10여 년 마주한 455번의 메시지, 그리고 역사의 무게”라고 말을 이어가다 울음을 터뜨리는 모습을 보였고, 끝내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는 “그 무게, 잊지 않고 가슴에 새기면서 조만간 더욱 성숙한 모습으로 다시 여러분 앞에 서겠다”라고 다짐했습니다.

‘역사저널 그날’은 우리 역사의 커다란 물줄기가 바뀐 결정적인 하루 ‘그날’ 을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프로그램입니다. 지난 10년간 KBS 간판 시사 교양 프로그램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지난 방송까지만 하더라도 종방에 대한 예고가 없었기에 갑작스러운 종방에 시청자들은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역사적인 그날’은 시즌제로 편성되는 방송입니다. 지난 2016년 종방했다 이듬해 6월 새 시즌을 시작한 바 있고, 이후에도 한 차례 시즌 종방 후 2018년 9월 시즌 3를 이어왔습니다. 그러나 당시엔 홈페이지에 시즌 종영에 대한 안내를 했으나 이번엔 그 같은 내용이 없습니다.

지난해 11월 KBS 박민 사장은 취임 첫날 교양 프로그램 시청률 1위였던 ‘더 라이브’를 갑작스레 편성에서 빼고, ‘뉴스 9’ 등 주요 뉴스 앵커도 시청자에게 마지막 작별 인사도 하지 못한 채 자리에서 물러났습니다.

짧은 시간 KBS가 보인 행보는 방송사 구성원인 제작진을 무시하고 편성 규약을 어기며 방송편성의 자유와 독립을 무너뜨린 처사입니다. KBS에서 이 같은 일이 이어질 수록 ‘낙하산’ 수식어를 붙인 박민 사장이 공영방송을 점령하고 좌지우지 하려 한다는 비난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지난달 KBS 2TV 예능 ‘홍김동전’, ‘옥탑방의 문제아들’이 시청률을 이유로 연달아 갑작스레 폐지된 만큼 ‘역사적인 그날’ 역시 이와 같은 맥락으로 박민 신임 사장의 흉흉한 인사 콘텐츠 칼바람을 피하지 못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4월 총선을 앞두고 일어난 ‘역사저널 그날’의 갑작스런 종방에 갑론을박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달 KBS 반 민주노총 KBS 노동조합 측은 “‘역사저널 그날’ 작가와 진행자 변경을 두고 일부 피디가 제작 자율성을 내세워 상부의 인사 조처에 반발했다”라면서 “리뉴얼을 위해 3개월간 제작이 중단된다”라고 밝혔습니다.

2020년 4월 15일 21대 총선을 앞두고 ‘역사저널 그날’이 민감한 근현대사 아이템을 다루면서 편향된 관점을 보였다는 게 노조의 판단입니다.

노조는 “수신료 분리 징수라는 최악 상황의 근본 원인은 ‘불법파업과 편파방송’이었다”라면서 “제작 거부와 불법파업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시스템과 관행을 정비하는 것이 근본적인 위기 극복 방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