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59곳의 1차 처리 방안이 다음주 초 나옵니다. 사업장별로 대출을 해 준 대주단은 2~3년 사업이 지연된 브릿지론 단계의 사업장은 경공매를 통해 정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본PF 단계에서 신규자금 투입이 필요한 사업장은 정상화 방안 마련에 진통이 예상됩니다. 신규자금을 넣은 금융회사는 최우선 변제권을 주는 인센티브를 적용할 방침입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태영건설의 59곳 부동산 PF 사업장 처리 방안을 대주단이 오는 26일까지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대주단은 해당 사업장을 살릴지, 아니면 정리할지 1차적으로 확정해야 합니다. 사업장을 유지할 경우 추가적으로 필요한 자금을 누가 분담할지도 결정해야 합니다.
59개 중에서 18개에 달하는 브릿지론 사업장은 경공매를 통해 정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사업장별로 대리금융기관이 중심이 돼 정상화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라면서 "2~3년간 사업 진행이 되지 않은 브릿지론 단계의 사업장은 사실상 정리 수순으로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경공매로 토지 매각에 성공하면 선순위 채권자는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지만 후순위로 들어간 금융회사는 돈을 떼일 수 있습니다. 태영건설 PF 후순위는 대부분 태영건설이나 증권사, 캐피탈사 등이다. 다만 회수하지 못한 채권은 일정 비율로 태영건설 지분으로 출자전환이 가능합니다. 태영건설이 책임준공 확약 등에 따라서 연대보증을 했거나 자금 보증을 한 사업장이 대상이다. 미회수 채권은 만기를 연장하는 등의 채권채무 재조정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본PF 단계의 사업장은 공사 단계와 분양률에 따라서 정상화 방안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분양률이 60~70%를 밑돌아 정상화를 위해서 신규자금 투입이 불가피한 사업장이 대표적입니다. 26일 처리방안 1차 확정을 앞두고 신규자금 투입 주체를 두고 대주단의 협의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59개 사업장 중 50여개 금융회사가 참여한 서울 마곡 복합시설 '마곡CP4 PFV'도 진통을 겪고 있습니다. 사업 진행을 위해선 추가로 3700억원이 필요합니다. 일부 대주단이 신규자금 대출을 해 주는 조건으로 금리 연 9.5%를 제시했으나 시행사가 금리 인하를 요청하는 등 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신규자금 투입을 거부하는 대주단도 있습니다. 원칙대로라면 채권비율에 따라 대주단이 신규자금을 투입해야 하지만 이를 거부하더라도 규정상 '패널티'(불이익)는 없습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신규자금을 더 많이 투입한 금융회사일수록 나중에 자금을 회수할 때 최수선 변제권을 주는 등의 인센티브를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산업은행이 26일 마감 시한을 정했지만 이때까지 처리방안을 확정하지 못한 사업장이 나올 수 있습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각 사업장별로 처리방안을 내놓으면 이를 바탕으로 4월 11일 산업은행이 경영정상화 방안을 채권자협의회에 올리게 된다"라며 "26일은 대주단의 1차적인 입장을 확인하는 절차로, 대주단이 사업 유지를 결정했더라도 실사결과가 반대로 나오면 정리를 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어엠' 편성 또 불발? '멱살' 첫방 확정에 표류 가능성 UP (0) | 2024.02.20 |
---|---|
아이브, '크라임씬' 뺨치는 긴장감…밀실 사건 추리 시작 (0) | 2024.02.20 |
태영건설 워크아웃 성공, 주말이 분수령 (0) | 2024.02.20 |
성남시, '키다리 소방관' 양승춘 하대원 119 안전센터장에 표창 수여 (0) | 2024.02.20 |
‘밤에 피는 꽃’ 이하늬, 복수도 사랑도 ‘성공’! 1년 후 이종원 곁으로! (1) | 202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