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동안 과식이나 폭식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식사를 많이 한 후에는 속이 더부룩하기 마련입니다. 음식으로 가득 찬 위장은 뒷감당하기가 힘들어집니다.
손쉽게 달래는 방법은 없을까요? 미국 건강·의료 매체 '웹엠디(WebMD)' 등의 자료를 토대로 평소보다 많이 먹고 난 후 속을 진정시키고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는 식품을 정리했습니다.
① 생강 - 폭식 후 배에 가스가 차 더부룩할 때 생강을 먹으면 소화관의 근육이 이완되어 가스 배출에 도움이 됩니다. 차로 마시거나, 절인 생강을 샐러드에 곁들이거나, 스무디에 넣어 먹을 수 있습니다.
② 요거트 - 폭식 후 속이 불편할 때 요거트를 먹으면 도움이 됩니다. 요거트 속 좋은 박테리아인 유산균이 나쁜 박테리아와 균형을 맞추고 복부 내 가스와 설사를 진정시킬 수 있습니다. 좋은 박테리아의 이점을 얻으려면 생균이 들어있는 요거트를 먹는 것이 좋습니다.
③ 바나나 - 나트륨을 너무 많이 섭취해서 혈압이 올랐다면 바나나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칼륨이 풍부해 나트륨이 많이 들어간 식단으로 인한 영향을 완화하고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④ 녹차 - 녹차에는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합니다. 플라보노이드는 나쁜 콜레스테롤(LDL) 수치를 낮추고 높아진 혈압을 정상으로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⑤ 견과류 - 폭식은 심장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몬드나 호두, 땅콩과 같은 견과류는 오메가-3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 비타민E가 들어있습니다. 모두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동맥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양소입니다.
⑥ 달걀 - 달걀에는 심장에 좋은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달걀에 가득 들어있는 단백질, 비타민B12 및 D, 리보플라빈, 엽산 등 모두 폭식으로 인한 심장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채소를 넣어 오믈렛으로 먹으면 섬유질도 챙길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이 걱정이라면 노른자는 빼도 됩니다.
⑦ 시금치 - 시금치에 풍부한 비타민B2는 지방 대사를 돕고, 질병 및 감염과 싸워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녹색 잎채소는 생으로 먹거나 살짝 쪄서 먹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물에 삶으면 중요한 비타민과 영양소가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⑧ 식초 - 샐러드에 식초를 살짝 뿌려 먹으면 폭식으로 인해 오르내리는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을 너무 많이 먹어 오른 혈당지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위가 상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⑨ 오렌지 - 오렌지는 맛만 좋을 뿐 아니라 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지방을 소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비타민C가 풍부합니다. 비타민C는 에너지와 기운을 올리는 데에도 좋습니다. 설탕이 든 주스 대신 과일 째로 먹어야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습니다.
⑩ 브로콜리 - 폭식 장애는 우울증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우울증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마그네슘은 기분을 좋아지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브로콜리에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익힌 브로콜리 반 컵으로 하루 마그네슘의 약 13%를 채울 수 있습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에서만 먹을 수 있는 K-Food?…내가 여행 간 나라엔 뭐가 있을까? (0) | 2024.09.16 |
---|---|
농심, 신라면 투움바 레시피 활용한 '신라면 툼바' 사발면 출시 (0) | 2024.09.16 |
‘가족X멜로’ 배우 김지수 “따뜻함 느꼈다면 큰 보람…깊은 감사” 종영 소감 (5) | 2024.09.16 |
"이러다 다 망할라"...'피자' 프랜차이즈의 몰락 (2) | 2024.09.16 |
출시 1년 지난 농심 먹태깡 품귀는 이제 '옛말' (1) | 2024.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