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지상파 3사 연예대상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MBC 중 행복한 고민에 빠졌습니다. 신인상과 대상이 강력한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누가 트로피의 주인공이 될지 뜨거운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KBS와 SBS는 후보는 커녕 시상식 전부터 잡음과 논란으로 시끄럽습니다. 

MBC는 올해 '나 혼자 산다'와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로 행복한 한해를 맞았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에 출연 중인 전현무와 기안84, 덱스, 김대호 등이 화제성과 인기를 싹쓸이 했습니다. 경쟁 구도도 막상막하입니다. 대상은 전현무와 기안84, 신인상은 덱스와 김대호가 유력합니다. 이들은 여러 방송을 통해 서로를 라이벌로 지목하며 경쟁에 불을 붙이는 재미까지 안기도 있습니다.

코드쿤스트가 "전현무와 기안84 둘 중 한 명이 대상을 받을거라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오만하다"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두 사람이 올 한해 MBC에 기여한 공로는 굉장합니다. 전현무는 '팜유즈'의 대장으로, '나 혼자 산다'의 회장으로 중심점을 잡아주고 있습니다. '나 혼자 산다'의 팀워크에는 전현무의 노력이 무엇보다 큽니다. 기안84는 '나 혼자 산다' 뿐 아니라 '태계일주'에서도 날것의 모습을 보여주며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덱스 역시 '솔로지옥 2' 출연 이후 대세 예능인으로 등극, '태계일주'에서 '덱쪽이' 캐릭터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김대호는 '나 혼자 산다'에서 단독주택에서 자신만의 삶을 즐기는 자연인 라이프를 공개해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KBS와 SBS는 연예대상을 앞두고 있지만, 분위기는 그리 좋지 못합니다. KBS는 연예대상을 앞두고 잇달아 예능 프로그램 폐지 소식을 전했습니다. 바로 '옥탑방의 문제아들'과 '홍김동전'입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화제성은 높지만, 시청률은 저조한 성적을 거둔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홍김동전'은 OTT 등을 통해 인기를 얻고 있었음에도 폐지가 결정돼 반대 청원이 등장하는 등 시청자들의 항의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두 프로그램 모두 김숙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김숙은 올해 대상 후보에 올라왔을 뿐 아니라 2020년 대상에 이어 여성 최초 대상 2관왕 타이틀을 거머쥘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출연하는 프로그램 3개 중 2개가 종영을 맞아 대상을 받기 민망한 상황이 됐습니다.

SBS는 대상 후보 공개 후 지석진 홀대 논란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지난 2년간 대상 후보로 거론됐지만 고사됐던 지석진이 올해에는 아예 후보에도 오르지 못한 것입니다. 여기에 지석진이 '런닝맨'은 건강 문제를 이유로 잠정 하차하게 돼 더욱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SBS에서 현재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는 건 탁재훈입니다. 지난해 지석진과 함께 후보로 거론됐지만 유재석이 대상을 받으며 불발된 만큼, 올해는 탁재훈에게 트로피가 돌아가지 않을까 하는 것이 업계의 평가입니다. 그러나 대상의 주인공을 떠나 지석진을 찬밥 신세한 SBS를 향한 대중의 시선은 곱지 않습니다.

지상파 3사 연예대상의 가닥이 잡혀가고 있지만, 결과를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기분 좋은 기다림 중인 MBC에 비해 KBS와 SBS는 주기도 받기도 민망해진 상황이 돼버렸습니다.

지상파 방송국 3사의 연예대상이 모두 막을 내렸습니다. 지난 17일 열린 '2022 SBS 연예대상'에서 유재석이 ‘런닝맨’으로 대상을 안았으며, 24일 열린 '2022 KBS 연예대상’에서는 ‘불후의 명곡’으로 신동엽이 대상을 탔습니다. 마지막으로 29일 '2022 MBC 방송연예대상’에서는 ‘나 혼자 산다’의 전현무가 대상을 탔습니다.

유재석은 SBS에서 연예대상을 시상한 이후 16년 동안 공동수상을 포함해 7번째 대상 수상자가 됐으며, 신동엽은 KBS에서만 3번째 대상을 안았습니다. 지난 2017년 첫 연예대상을 수상했던 전현무는 MBC에서만 두 번째 대상을 안게 됐습니다.

이들 수상의 의미를 떨어뜨리려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이 대상에 적합했는지는 한 번 곰곰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연예대상의 대상이라 함은 철저하게 프로그램에서의 공헌도를 생각해야 하고, 더 나아가 프로그램이 그럴만한 가치가 있었는지를 생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유재석의 ‘런닝맨’은 올해 두 번의 브랜드평판 1위를 달성했고, 단일 버라이어티로 최대 회차인 600회를 넘겼습니다. 하지만 이는 고만고만했던 예능 프로그램 사이의 성적으로 ‘런닝맨’의 시청률은 거의 1년 내내 3~4%에 그쳤습니다. 심지어 같은 시간 새롭게 방송된 MBC의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에게 시청률에서 뒤진 적도 있었습니다.

신동엽의 ‘불후의 명곡’ 역시 방송 11년 차를 맞은 장수 예능이었습니다. 2022년 연예대상에서는 ‘2022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을 수상했고, ‘시청자가 뽑은 최고의 프로그램상’도 수상했습니다. 그나마 시청률이 7~9% 사이를 오가는 편이라 ‘불후의 명곡’의 수치는 나은 편입니다. 하지만 중장년층을 제외한 젊은 층(20~49세)에 있어서의 시청률은 1%대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제성에 있어서는 가장 나은 것으로 알려진 MBC ‘나 혼자 산다’ 역시 시청률은 금요일 밤의 좋은 시간임에도 10%를 넘기기가 쉽지 않습니다. 결국 지상파 방송국 3사의 대상 관련 프로그램들은 침체에 빠진 대한민국 예능에서 그나마 시청자의 선택을 받는 프로그램으로 꾸려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그리고 간편한 시청으로 각광받고 있는 OTT 플랫폼이 유행하면서 TV 시청자, 특히 본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이탈은 눈물 폭탄 속에 가속화됐습니다. 인기 있는 지상파 방송국 3사 예능의 경우에도 본방송을 보지 않고 손쉬운 OTT 플랫폼을 다시보기를 시청하는 것이 보편화됐습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많은 작품들이 각광을 받고 있는 드라마와 달리 예능의 경우에는 세계적인 플랫폼에 올라선 작품들에게서도 이렇다 할 소식은 나오지 않습니다.

OTT 플랫폼이 이럴진대 지상파 TV의 예능 프로그램 관련 고심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른바 ‘국민 예능’이라는 타이틀은 예전의 영광이 됐고, 지상파 방송국 3사 코미디 프로그램의 마지막 가는 길 그리고 관찰 예능 및 리얼리티 예능에 이은 다음 유행을 계발하지 못한 영향으로 예능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은 갈수록 TV 앞을 떠나고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상황은 유재석과 신동엽 등 20년 이상 인기를 유지하는 장수 예능인들의 대상 수상 결과로 이어집니다. 새로운 얼굴은 기존 얼굴들의 틈바구니에서 더 발견되지 못하고, 이름있는 PD들과 제작자들은 모두 방송사를 벗어나 자체 제작사로 OTT의 IP(지식재산권)를 노리고 있습니다.

김구라가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2019 SBS 연예대상'에 출연한 그는 지상파 방송국 3사 통합 시상식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말 이후 3년이 되도 이러한 상황은 바뀌지 않습니다. 각 방송사가 연말을 이용한 이벤트를 통해 광고를 미리 수주하는 경우도 있고, 잘못하면 수상자가 없을 경우 이후 상을 이용한 치하를 통해 출연자들을 관리하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한국방송협회의 한국방송대상이라는 대체제도 있지만, 연말이 아닌 연중에 개최되 축제로서의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는 데다 시청자 투표보다는 심사위원들의 심사에 의한 결과라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도 있습니다.

갈수록 떨어지는 지상파 방송국 3사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그리고 이 와중에서도 각사의 이익을 우선해야 하는 방송사들의 사정으로 방송사 연예대상의 젖줄은 갈수록 말라가고 있습니다. 지금이야 생각이 나지 않을 때 줄 수상자라도 있지만 유재석, 강호동, 신동엽이 은퇴라도 한 후에는 어떻게 대상의 명맥을 이어갈지 그 길이 쉽게 보이지 않습니다.

지상파 내부에서도 공동 시상식에 대한 취지는 공감합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선 이상에는 거론되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예능판 만큼이라도 ‘한국의 에미상’이라고 할만한 새로운 이벤트는 과연 없는 것일까요? 지상파 방송국 3사는 이번 연예대상의 시청률 수치를 다시 보고, 다시 고민해보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