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성장세가 지속, 기존 유료방송 대체 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OTT 주요 현황과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전년 대비 4.7% 감소했으나 NETFLIX와 TVING, Wavve 등 주요 OTT 서비스 매출은 6.4% 늘었습니다.
또한 OTT 이용률이 2021년 69.5%, 2022년 72%, 2024년 77%로 증가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유료 이용자 비율도 같은 기간 50.1%, 55.9%, 57%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설문 결과 유료 OTT 이용자 중 다중구독은 평균 2.8개였으며, 지급 금액은 전년보다 증가(40%)하거나 비슷하다(52.5%)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한편, 주요 유료 OTT의 월간 사용자 수(MAU)는 2021년까지는 급증했으나 이후로는 2022년 3019만명, 2023년 3458만명, 2024년 6월 3239만명으로 등락을 거듭하며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무료 광고 기반 서비스인 Youtube의 경우 MAU가 2021년 4365만명, 2022년 4514만명, 2023년 4565만명, 2024년 6월 4625만명으로 늘었고, 일평균 사용 시간 역시 같은 기간 68.7분, 72.1분, 79.7분, 80.8분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방통위는 OTT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유료방송 가입자, 시청 시간 및 채널 수가 감소하는 등 유료방송 시장에 경쟁압력을 크게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습니다.
유료방송 개별 가입자는 2021년 1656만명, 2022년 1650만명, 2023년 1643만명으로 줄었습니다.
또 올해 설문 결과 OTT를 사용한 후 유료방송을 통한 실시간 방송 시청 시간은 응답자의 40.5%가 감소했다고 답했습니다.
방통위는 “향후 OTT의 콘텐츠 차별화, 스포츠 독점 중계, 실시간 방송 확대 등으로 유료방송 대체효과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 OTT들이 자체 제작물을 제공하면서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방송사와 OTT 간 경쟁도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제작사들은 지상파 3사(KBS·MBC·SBS)에 콘텐츠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보다 OTT를 선호한다고 응답, 방송사업자와 OTT 간 대체성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한편, 올해 설문조사 결과 Youtube 등 OTT가 실시간 방송광고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광고주가 늘어(2016년 34.3→2024년 40.2%) 향후 방송광고 대신 OTT 광고를 선택하는 비율이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방통위는 이번 분석 결과를 올해 경쟁 상황평가에 반영해 평가할 예정이며, 경쟁 상황평가 결과는 내년 상반기 중 발표합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씨부인전', 결방 여파 없었다… 4회 8.5%, 시청률 파죽지세 (0) | 2024.12.16 |
---|---|
시청자 기만도 정도껏... TV조선 '이제 혼자다' 덜컥 오늘 종영 (0) | 2024.12.16 |
방송국 앵커 클로징 멘트 "시민에 경의", "당연한 귀결", "한 사람이 만든 비극" (2) | 2024.12.15 |
尹 탄핵 가결 'MBC 뉴스데스크' 시청률 10.6%로 1위! (0) | 2024.12.15 |
尹 탄핵소추… 명태균도 다녀갔다는 강남 자택은 어디? (3) | 202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