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의 금융사고가 그치지 않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은행 경영진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며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하고 있습니다. 은행들도 각 금융지주회장들이 총대를 메고 내부 통제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곳곳에서 허점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은행권에서는 금융당국이 전방위 검사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무성합니다.
오늘(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 18일 홈페이지에 내부 직원의 업무상 배임에 의해 21억 8902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 사고는 국민은행 측이 자체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발견됐습니다. 손실예상금액은 미정입니다.
이 직원은 2023년 3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이 업체에 부당대출을 내어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친인척 등과 연관된 업무상 배임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민은행은 관련 직원을 인사조치하고 향후 형사 고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국민은행은 지난 2월에도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22억 214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해당 사고는 세종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전세 사기 사건과 연관된 것으로, 피의자들은 세입자 명의를 도용해 지역은행에서 불법적으로 대출을 실행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은행들의 금융사고는 올해에도 계속 터지고 있습니다.
하나은행도 지난 14일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350억원 규모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사고 발생일은 지난해 4월 30일이며 손실 예상 금액은 1억 9538만원입니다.
NH농협은행에서도 이달 204억 931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를 공시했습니다.
지난달에는 신한은행이 직원 횡령으로 17억 720만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2월에는 IBK기업은행, 국민은행을 비롯해 신한·SC제일·NH농협은행 등이 세종시에서 발생한 전세대출 관련 금융사고를 공시했습니다. IBK기업은행은 지난 1월 239억 5000만원 규모의 업무상 배임 금융사고를 공시했습니다.
결국 금융감독원은 2년 만에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에 대한 정기검사를 오는 28일부터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당초 5월로 예상됐던 정기검사는 이복현 금감원장의 임기(6월 만기)와 은행권에 잇따른 부당대출, 금융사고 등 논란으로 시기를 앞당겼습니다.
이에 다른 은행들에 대한 수시검사가 진행되는 것 아니냐며 금융권 사이에 긴장감이 돌고 있습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들어 금융사고가 계속 터지는 것 같지만 강화된 내부통제 시스템을 작동하면서 감춰질 수 있었던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도 있다"라며 "은행 영업점에는 적당한 자율성을 부여하는데 여기서 일부 부도덕한 개인이 일탈을 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다른 관계자는 "은행 임직원이 금융 사고에 연루되지 않도록 하는 예방적 차원의 프로그램 강화가 더 절실하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은행들은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통해 내부통제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개별 거래에서 탐지할 수 없는 금융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반복되는 동일 유형의 금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 김종민 "큰 지탄 받을 것"… 뒤통수친 '1박 2일' 멤버들에 분노 폭발 (1) | 2025.04.20 |
---|---|
롯데하이마트, 1~2인 가구 공략 본격화… 새 자체브랜드 '플럭스' 출격 (2) | 2025.04.20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역세권 혜택 ‘도마 포레나해모로’ (0) | 2025.04.20 |
대우건설,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 분양 돌입 (1) | 2025.04.20 |
쌀국수에 넣는 ‘숙주’ 라면에 넣었더니... 몸에 어떤 변화가? (1)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