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호와 박정민이 비상계엄령으로 라디오 출연을 취소했습니다.

송강호와 박정민은 영화 ‘1승’ 홍보를 위해 오늘(4일) 방송되는 SBS 파워FM(수도권 기준 FM 107.7㎒) ‘박하선의 씨네타운’에 출연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어제(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비상계엄령을 선포하면서 끝내 출연을 취소했습니다.

DJ 박하선은 “오늘 씨네초대석이 예고돼 있었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취소됐다”라며 “현실이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을 때가 많은데 진짜 영화로 끝났으면 좋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어제(3일) 밤 10시 24분께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했고, 무장 계엄군이 국회 건물 유리창을 깨고 시민들과 몸싸움을 하며 국회로 진입했습니다.

국회는 190명 찬성으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가결했습니다. 이후 윤 대통령은 오늘(4일) 오전 4시 27분께 비상계엄령을 해제하고 군을 철수시켰습니다.

SBS ‘틈만 나면’ 박세리 편이 다시 방송됩니다.

오늘(4일) OSEN 취재 결과, 박세리가 게스트로 출연한 SBS ‘틈만 나면’ 15회는 오는 10일 다시 방영됩니다. 제작진은 방송 중단과 관계없이, 아예 15회를 처음부터 다시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어제(3일) 방송된 SBS ‘틈만 나면’에서는 골프 황제 박세리가 출연해 유재석, 유연석과 대전 나들이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세 사람은 대화를 나누면서 길을 걷는 모습이었고, 티키타카를 이어가며 웃음을 전했습니다.

그러나 방송 중이던 SBS ‘틈만 나면’은 윤석열 대통령의 긴급 대국민 담화로 방송이 중단됐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발표를 통해 국가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국정은 마비되고 국민들의 한숨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자유 대한민국의 헌정 질서를 짓밟고 헌법과 법에 의해 세워진 정당한 국가 기관을 교란시키는 것으로서, 내란을 획책하는 명백한 반국가 행위다. 국민의 삶은 안중에도 없고 오로지 탄핵과 특검 야당 대표의 방탕으로 국정이 마비 상태에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저는 이 비상계엄을 통해 망국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는 자유 대한민국을 재건하고 지켜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저는 지금까지 패악질을 일삼고 있는 망국의 원흉 반국가 세력을 반드시 척결하겠다.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반국가 세력을 척결하고 국가를 정상화시키겠다”라며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그러나 국회는 4월 오전 1시 2분경 재적 의원 190명의 전원 찬성으로 윤 대통령에 계엄 해제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가결했고, 3시간 뒤인 오전 4시 28분 윤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계엄을 해제할 것”이라고 알렸습니다. 이어 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안이 의결되며 계엄이 해제됐습니다.

계엄 해제 이후에도 지상파 3사는 여전히 뉴스특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침 정보 프로그램인 KBS 1TV ‘아침마당’, MBC TV ‘생방송 오늘 아침’, SBS TV '좋은 아침' 등도 결방 수순을 밟았습니다. 계엄 선포로 갑자기 방송이 중단된 SBS ‘틈만 나면’의 경우, 다음 주 방송 날짜에 15회 박세리 편을 처음부터 그대로 방송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편, SBS ‘틈만 나면’은 일상 속 마주하는 잠깐의 틈새시간 사이에 행운을 선물하는 ‘틈새 공략’ 버라이어티로 매주 화요일 밤 10시 20분에 방송됩니다.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MBN '나는 자연인이다'가 결방합니다.

오늘(4일) MBN 측은 OSEN에 "오늘(4일) 밤 9시 10분 방송 예정이었던 MBN '나는 자연인이다'는 'MBN 뉴스특보' 편성으로 결방된다"고 밝혔습니다.

어제(3일) 밤 10시 30분께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그는 "북한 공산세력의 위협으로부터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고, 우리 국민의 자유와 행복을 약탈하고 있는 파렴치한 종북 반국가세력들을 일거에 척결하고 자유 헌정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라고 전했습니다.

비상계엄 체계에 들어간지 얼마 지나지 않아 오늘(4일) 새벽 1시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이 의결됐고, 윤석열 대통령은 4시 30분께 추가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해제를 발표했습니다. 이어 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안이 의결되면서 6시간여만에 비상계엄 사태는 일단락 됐습니다.

이에 지상파 3사를 비롯한 주요 방송사들은 당시 방송중이던 예능 프로그램 등의 송출을 중단하고 뉴스특보로 전환했습니다. 현재 계엄령은 해제됐지만, 비상사태인 만큼 현재까지도 뉴스특보를 편성해 방송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MBN 측은 논의 끝에 'MBN 뉴스특보' 편성 여파로 오늘(4일) 밤 9시 10분부터 방송되는 '나는 자연인이다' 결방을 결정지었습니다. 다만 밤 10시 20분부터 방송되는 MBN, K-STAR 예능 프로그램 '고딩엄빠 5'는 정상 방송될 예정입니다.

MBC '라디오스타'가 비상계엄이 해제됐음에도 결방합니다. 오늘(4일) MBC는 "MBC '라디오스타'가 금일 결방된다"라고 밝혔습니다.

MBC는 "오늘(4일) 밤 10시 30분 방송 예정이었던 '라디오스타'는 'MBC 뉴스특보' 편성으로 결방한다"라며 "시청자 여러분들의 많은 양해 부탁드린다"라고 했습니다.

이는 어제(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에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3일 오후 10시 24분께 긴급 대국민 담화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이후 국회는 4일 오전 1시께 본회의를 열어 190명의 찬성으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가결했습니다. 이후 윤 대통령은 오전 4시 27분께 비상계엄령을 해제하고 군을 철수시켰습니다.

★ 다음은 MBC 공식입장 전문입니다. ★

MBC '라디오스타' 금일(12월 4일) 결방 안내 드립니다.

오늘(4일) 밤 10시 30분 방송 예정이었던 MBC ‘라디오스타’는 <MBC 뉴스특보> 편성으로 결방합니다.

시청자 여러분들의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BS ‘골 때리는 그녀들’이 뉴스특보 편성으로 인해 결방합니다.

오늘(4일) SBS 측 관계자는 OSEN에 “금일 ‘골 때리는 그녀들’은 ‘특집 SBS 8 뉴스’ 편성으로 인해 결방된다”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어제(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한 여파입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이 비상계엄을 통해 망국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는 자유 대한민국을 재건하고 지켜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저는 지금까지 패악질을 일삼고 있는 망국의 원흉 반국가 세력을 반드시 척결하겠다.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반국가 세력을 척결하고 국가를 정상화 시키겠다”라고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이후 국회에 모인 의원들은 4일 오전 1시께 재적 의원 190명의 전원 찬성으로 윤 대통령에 계엄 해제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가결했고, 3시간 뒤인 오전 4시 28분 윤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계엄을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진 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안이 의결되며 계엄이 해제됐습니다.

당시 방송되던 예능 프로그램도 송출이 중단됐고, 뉴스특보가 긴급 편성됐습니다. 긴급계엄을 해지되었으나 여전히 비상사태인 상황으로 뉴스특보가 계속되는 상황입니다. 지상파 3사는 아침방송 프로그램인 KBS 1TV ‘아침마당’, MBC TV ‘생방송 오늘 아침’, SBS '좋은 아침' 등을 결방하며 뉴스특보를 연속 편성했습니다.

이 가운데 ‘골때녀’ 역시 여파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SBS는 ‘골때녀’를 결방한 뒤 뉴스를 편성해 특보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3일)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정치권과 과거 언론보도 등을 종합하면 대한민국 헌정사에 비상계엄은 총 8차례 나타납니다.

헌정질서가 시작된 후 첫 계엄령은 정부가 수립된 1948년 선포됐습니다. 가장 마지막으로는 1979년 선포돼 1981년 해제된 계엄령이 있었습니다. 이번에 9번째 선포된 비상계엄은 그로부터 43년만입니다.

대통령의 계엄 권한은 1948년 제헌 헌법부터 존재했습니다. 무조건 전국 계엄령은 아니었으며 특정 지역에 국한된 계엄령이 선포됐다가 일부는 전국으로 확대 적용했습니다.

① 1948년 여수·순천에 첫 계엄령

1948년 제주에서 4.3이 발생한 가운데 그해 10월 21일 이승만 대통령은 전남 여수와 순천에 계엄령을 선포했습니다. 헌정사상 첫 계엄령입니다.

뒤이어 1948년 11월 17일 제주에도 계엄령이 선포됐습니다. 여수·순천 계엄령은 1949년 2월, 제주 계엄령은 그보다 이른 1948년 12월 말일을 기해 해제된 걸로 파악됩니다.

세번째는 1952년입니다. 앞서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기 전 제2대 총선에서 무소속 의원들이 당선되는 등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기반이 약해진 데다, 전쟁이 계속되면서 대통령과 국회가 대립했습니다. 이에 1952년 5월 25일 부산, 경남, 전남 등에 계엄령이 선포됐다. 이른바 부산정치파동 사건이다. 일부 국회의원이 체포, 연행됐습니다. 이 계엄령은 두 달 뒤인 7월 해제됐습니다.

② 1960년 4·19, 1961년 5·16, 1979년 부마항쟁때 계엄령 선포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자 서울시에 계엄령이 선포된 것이 네 번째입니다. 이 경우 약 3개월 후인 1960년 7월 해제됐으나 바로 이듬해인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장군 등이 5·16 쿠데타(군사정변)를 일으키면서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했습니다. 역사상 다섯번째 계엄령이었으며 이는 1년을 넘겨 1962년 12월에야 종료됐습니다.

여섯번째는 한일 회담 반대 운동이 격렬하게 벌어지면서 1964년 6월 3일 선포됐습니다. 이어 7월 해제됐습니다.

일곱번째는 1972년 박정희 정부가 10월 유신을 선포하면서 계엄령도 선포한 것입니다. 이 계엄령 이후 유신헌법 제정, 유신체제 강화가 이어졌습니다.

그로부터 7년 후 박정희 정부 말기가 되자 1979년 부산과 마산에서 민주화 시위가 거세졌습니다. 이에 1979년 10월 18일 부산 일대에 계엄령이 선포됐습니다. 이는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이후로도 유지됐습니다.

해를 넘겨 1980년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 등 신군부는 5월 광주 민주화운동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이 계엄령을 전국에 확대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1980년 8월 당시 헌법으로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대통령이 됐고, 대통령 7년 단임제 등 헌법을 고쳐 1981년 1월 대통령 선거를 다시 치렀습니다. 여기서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계엄령은 해제됐습니다.

한편 윤 대통령은 "북한 공산세력 위협으로부터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고 국민의 자유와 행복을 약탈하고 있는 파렴치한 종북 반국가세력들을 일거에 척결하고 자유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라고 어제(3일) 밤 밝혔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