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가 불황이 덮친 지난해 6조 5천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려 외형성장을 이어갔습니다.
신세계는 백화점, 면세점 등이 포함된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이 6조 5704억원으로 전년보다 3.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5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4795억원으로 25.1%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판결에 따른 추정 부담금, 면세점 희망퇴직에 따른 퇴직금 반영, 인천공항 임대료 회계 처리 등 때문입니다.
이에 당기순이익은 1762억원으로 43.52% 줄었습니다.
신세계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주당 배당금을 4500원으로 12.5% 늘렸습니다. 이에 따라 정유경 회장은 82억 2천만원의 배당금을 받게 됩니다.
지난해 신세계백화점 사업 부문 매출은 3.5% 증가한 2조 6474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별도 법인인 광주·대구·대전 신세계백화점 실적을 합산한 수치입니다.
다만 영업이익은 4055억원으로 7.8% 감소했습니다. 통상임금 추정 부담금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신세계디에프(면세점) 매출은 2조 60억원으로 4.7% 늘었지만, 35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습니다.
면세점 영업손실은 환율급등에 따른 공항 매출 부진과 임차료 부담 증가, 부산점 철수에 따른 희망퇴직 비용 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신세계디에프는 인천국제공항 내 럭셔리 브랜드를 추가 오픈해 경쟁력을 높이고, 부산점 폐점을 비롯한 비용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신세계인터내셔날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3086억원, 268억원으로 3.4%, 45% 감소했습니다.
센트럴시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753억원, 857억원으로 7.3%, 7.9% 늘었습니다.
신세계까사 매출은 2695억원으로 14.6% 늘었고,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처음으로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283억원, 177억원으로 15.6%, 34.1% 증가했습니다. 이는 라이브쇼핑이 2022년 3분기 신세계에 편입된 이래 최대입니다.
신세계 관계자는 "지난해 어려운 업황에도 백화점을 비롯한 대부분 연결 자회사가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라며 "올해도 사별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내실 있는 경영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심, 일본에 '신라면 스케이트장' 만든 이유 (1) | 2025.02.05 |
---|---|
롯데하이마트, 작년 영업익 17억원 전년比 79.1%↓... "하반기 개선 추세" (0) | 2025.02.05 |
수원시, 세계 106개국 TV로 중소기업 경쟁력 전파… 12개사 모집 (0) | 2025.02.05 |
‘The Globalists’ 30년 글로벌 노하우로 ‘K-Book’ 열풍 이끈다···김희순 에릭양 에이전시(EYA) 대표 (2) | 2025.02.05 |
‘The GeoVista’ 현대전 판도를 바꾸는 드론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