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이 되면 식중독 위험이 커집니다. 온도와 습도가 높은 장마철엔 음식이 상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장마기간에만 왕성하게 퍼지는 세균은 없습니다. 하지만 장마철엔 고온다습한 날씨 탓에 세균 번식 속도가 다른 시기보다 빠릅니다. 자외선은 살균 효과를 내는데 장마철엔 자외선량이 줄어 세균 활동을 돕기도 합니다.

① 위생상태 관리하고 날음식 섭취 주의해야

식중독은 음식물 섭취를 통해 위장관 등 소화기가 감염돼 배탈과 설사 등의 증상이 급성 혹은 만성으로 발현되는 질환입니다. 발열, 구역질, 구토, 설사, 복통, 발진 등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원인에 따라 세균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 식품 속 미생물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한 식중독, 동·식물성 독소에 의한 자연독식중독,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성 식중독으로 나뉩니다. 세균성 식중독을 유발하는 세균은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이질균, 장염비브리오균 등이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과 장마철엔 세균성 식중독이 발생할 위험이 큽니다.

정지원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증상이 가장 빨리 나타나는 건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이라며 “이 균의 독소에 오염된 음식물을 먹으면 1~6시간 이내에 구토와 설사를 하게 된다”라고 했습니다. 이때는 항생제나 지사제를 복용하는 것보다 먼저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는 게 중요합니다.

장티푸스에 감염되면 1~2주 정도 잠복기를 거쳐 40도 안팎의 고열과 두통, 설사 증상을 호소한다. 오들오들 떨리고 머리와 팔다리 관절이 쑤시는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먼저 나타납니다. 심하면 장출혈, 뇌막염 등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국내 환자의 70~80%는 장티푸스균에 오염된 물을 마셔 감염됩니다. 심해지면 2~3주 뒤부터는 40도를 오르내리는 고열과 탈진상태에 빠집니다. 몸에 열꽃이 생기고 피가 섞인 변이 나오기도 합니다.

장티푸스 환자라고 모두 설사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변비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도 있습니다. 장티푸스를 예방하려면 물은 끓여 마시고 음식은 잘 익혀 먹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 장티푸스 예방을 위해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② 가금류 복용으로 감염 쉬운 살모넬라균

살모넬라는 닭과 오리 등 가금류 섭취로 생기기 쉬운 세균성 식중독입니다. 달걀도 감염원이 될 수 있습니다. 살모넬라균은 열에 상당히 약합니다. 62~65도에서 30분 정도만 가열하면 죽습니다. 달걀도 익히면 감염을 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다른 식품에 의한 2차 오염으로 감염되는 환자가 많습니다. 생닭을 조리하던 손으로 다른 음식 등을 만지거나 도마, 칼 등을 바꾸지 않아도 감염되기 쉽습니다.

이질은 용변 등으로 오염된 물과 변질된 음식을 통해 감염됩니다. 전파력이 강한 게 특징입니다. 이질균은 물속에서 2~6주 동안, 흙에서는 수개월 동안 살 수 있습니다.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에도 잘 죽지 않습니다. 손에 조금만 묻어 있거나 200개 정도의 균에만 노출돼도 이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초기엔 구역질, 구토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다가 3~6주 안에 수차례 설사를 하게 됩니다. 어린이나 노약자는 탈수현상을 보여 혼수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설사가 지속되거나 탈수 증상이 있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치료를 해도 환자 절반 이상이 숨질 수 있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바닷물에 사는 비브리오균은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는 여름에 급격히 증식합니다.

균 한두 마리가 몸속에 들어간다고 바로 발병하진 않습니다. 10만 개 정도의 균이 침입해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생선회나 생굴 등 생으로 해산물을 먹으면 생기기 쉽습니다. 간 기능이 떨어진 만성간염, 간경변증 환자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환자의 90% 이상이 40~50대 남성입니다. 간 질환을 앓는 사람이라면 해산물은 꼭 익혀 먹어야 합니다.

③ 장마 끝엔 콜레라 주의

콜레라는 장마가 마무리될 때쯤 주의해야 하는 대표 감염병입니다. 오염된 물이나 음식, 환자의 구토물 등으로 전파됩니다. 오염된 손으로 음식을 만들거나 밥을 먹을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콜레라균에 감염되면 2~4일 정도 잠복기가 지난 뒤 심한 설사와 함께 탈수현상으로 갈증을 느끼는 증상을 호소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혈압이 떨어지면서 피부가 푸른색으로 변하고 정신 상태가 불안해지기도 합니다.

손을 잘 씻고 음식물을 끓여 먹는 것만 잘 지켜도 콜레라 발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조리기구는 꼭 소독해 보관하고 음식물을 오래 보관하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정 교수는 “식중독 예방의 지름길은 음식을 선택하고 조리·보관하는 과정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세균은 0~60도에서 잘 번식합니다. 음식을 저장할 땐 4도 이하에서 하고 가열은 60도 이상에서 해야 합니다.

포도상구균, 바실루스균, 클로스트리디움균의 독소는 가열해도 증식할 수 있습니다. 음식물을 오래 보관하지 않고 조리된 음식은 가능하면 바로 먹는 게 좋습니다.

개인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외출하거나 화장실에 다녀온 뒤엔 꼭 손을 씻어야 합니다. 식중독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여름엔 마시는 물도 중요합니다. 산이나 계곡, 해변에 놀러 갔을 때 지하수나 약수, 우물물 섭취는 가급적 삼가는 게 좋습니다. 수돗물은 염소 소독을 거치기 때문에 균 오염 가능성이 작지만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은 물은 각종 식중독균에 오염됐을 우려가 있습니다.

장마전선이 한반도에 상륙하면서 전국적으로 많은 비를 내리게 하고 있습니다. 많은 비와 무더위가 이어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는 우리 몸에 유해한 유독물질 및 미생물로 인해 발생하는 감염성·독소형 질환인 식중독을 주의해야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에서 발표한 식중독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1년 식중독 환자는 5,160명이었으며 7월 식중독 환자가 1,293명(25%)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8월에는 878명(17%)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흔히 식중독의 주원인을 회 같은 해산물로 여기는데 주범은 채소와 과일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2년~2016년 병원성 대장균으로 인해 생긴 식중독 원인 식품을 분석한 결과, 채소류가 41.8%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위는 육류(14.2%), 3위는 김밥 등 조리식품(2.6%)이었습니다. 해산물은 상위 3위 내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역시 식중독 원인의 46%는 세균에 오염된 채소와 과일이라고 밝혔습니다.

식중독의 주요 원인이 왜 채소와 과일일까요? 채소와 과일은 그냥 먹어도 괜찮다고 생각해 제대로 씻지 않거나, 샐러드 등 날 것으로 먹다 보니 상대적으로 세균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동물 장내에 서식하는 대장균 중 독소를 생성하는 병원성 대장균은 숙성이 덜된 퇴비나 오염된 물을 통해 재배 중인 채소나 도축되는 고기를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더러운 손으로 만지는 등 운반 과정에서 오염되거나 채소를 기르는 데 사용한 지하수가 오염됐어도 문제가 됩니다.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은 복통·설사·구토·탈수·피로 등을 일으킵니다. 영ㆍ유아나 고령인이 감염되면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임창섭 대동병원 소화기내시경센터 과장(소화기내과 전문의)은 “식중독은 가벼운 증상으로 끝날 때도 있지만 때로는 목숨과 관계되는 심각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식중독에 걸렸을 때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탈수를 예방해야 합니다. 이온음료도 수분 보충에 도움이 됩니다. 설사가 줄어 들기 시작하면 미음이나 쌀죽 등 기름기가 없는 담백한 음식을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채소와 과일은 반드시 깨끗한 물로 세척한 뒤 바로 섭취해야 합니다. 이때 식재료 세척용으로 검증받은 제품을 이용해 5분 이상 물에 담근 후 3회 이상 깨끗이 씻습니다.

잎 채소는 한 장씩 흐르는 물로 3회 이상 씻되 눈으로 봤을 때 깨끗하지 않다면 다시 세척해야 합니다. 외식하다 식중독에 걸리지 않으려면 위생 상태가 의심스러운 음식점은 피하고, 제대로 씻었는지 알 수 없는 채소가 들어간 샐러드류나 샌드위치 등은 먹지 말아야 합니다.

육류나 어패류는 75도 이상 고열을 이용해 1분 이상 조리해 속까지 완전히 익혔는지 확인한 뒤 섭취합니다. 음식을 보관할 때는 생고기나 식재료는 냉장고 하단에 보관하며 조리된 음식은 상단에 보관해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