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지난달 국회를 통과한 TV수신료 통합징수법(방송법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공포되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KBS는 오늘(20일) 입장문을 통해 “지난해 시행된 수신료 분리 징수로 인해 KBS는 심각한 재정 위기를 겪으며 재난방송 등 국가기간방송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큰 애로를 겪었다”라며 “KBS는 이번 법안이 공포돼 국가기간방송으로서의 역할을 더욱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간절히 기대하고 있다”라고 했습니다.
KBS는 “분리 징수로 인해 수신료를 성실히 납부하던 시청자들은 불편을 겪었고, 수신료 징수 비용이 크게 늘면서 사회적 비효율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신료 통합 징수는 이뤄져야 한다”라고 촉구했습니다. 국무회의를 앞두고 보다 명확히 입장을 밝히기로 했다는 설명도 전했습니다.
KBS는 “수신료 분리 징수 과정에서 방송의 공정성과 경영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절감하고 이를 겸허히 받아들였다. 공정성 강화를 위한 내부 점검을 실시했고, 뉴스와 프로그램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강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라면서 “대규모 조직 개편과 두 차례 희망 퇴직과 특별 명예 퇴직으로 조직과 인력을 감축했다. 제작 전문 인력들이 불가피하게 수신료 업무에 투입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수신료 징수 체계의 불안정성이 지속되며 좀처럼 재정 위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라고 했습니다.
아울러 KBS는 “수신료 안정화가 이뤄지면 공정성과 공공성을 담보한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제작과 사회적 약자 보호 등 공영성을 강화하기 위해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EBS도 지난 15일 “분리 징수로 인한 EBS 수신료 수입 감소는 EBS 운영재원의 70%를 상업적 재원으로 충당하는 EBS에게 교육 공영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차질을 빚을 만큼 매우 치명적이다. 특히 공영방송의 재정적 독립성을 보장해야 하는 TV수신료가 전기요금 통합고지에서 분리고지로 바뀌면서, 징수 비용이 과다 지출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라면서 조속한 수신료 통합징수법 공포를 촉구했습니다.
수신료 통합징수법은 지난달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이달 10일 정부로 이송됐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재의요구(거부권)를 하지 않으면 공포됩니다. 일각에선 김태규 방송통신위원장 직무대행이 수신료 통합징수법에 대한 거부권을 요구할 거란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 쏙:쏙 - MBC '손석희의 질문들' 돌아온다... 홍준표·유시민 생방송 토론 예고 外 (0) | 2025.01.21 |
---|---|
23일 이진숙 탄핵심판 선고에 김태규 직무대행 "결과 잘 나올 것" (0) | 2025.01.20 |
바닥 쓰러진 기자 무차별 폭행… KBS "형사고발 등 강력대처" (0) | 2025.01.20 |
무너지는 지방건설사… 경남 2위 대저건설마저 법정관리 신청 (1) | 2025.01.20 |
사물놀이부터 공예체험까지… 서울역사박물관, 설맞이 행사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