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후 2시께 경북 예천소방서 앞 예천군 긴급구조통제단 상황실.

경북 예천군에 쏟아진 폭우로 인명·시설 피해가 잇따르면서 긴급구조통제단이 꾸려졌다.

천막 아래 모인 소방대원들은 집중 호우 상황판에 적힌 인명피해와 구조현황 등을 수정하느라 바삐 움직였다.

기자가 도착했을 당시 상황판 인명 피해 현황은 '사망 13명, 실종 11명, 부상 2명'.

그러나 20여분 만에 사망자가 1명 늘어나 소방대원들이 현황판을 수정했다.

인근 예천스타디움 대형 주차장에는 구조 작업에 투입되기 위해 전국에서 모인 대형 구조 장비들이 집결했다.

출동 요청을 받은 소방대원들이 서둘러 장비에 올라탄 뒤 사고 현장을 떠나느라 분주했다.

예천스타디움 실내에도 출동복을 입고 준비 태세에 돌입한 소방대원들이 곳곳에서 목격됐다.

현장에서 만난 소방대원들은 도로와 다리 붕괴 등 시설물 피해가 잇따르면서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한 소방관은 "피해가 심한 곳에는 주택이 통째로 쓸려 내려갔다"며 "장비 투입이 어려운 곳에는 소방대원들이 수작업으로 흙이나 벽돌 등을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꿎은 비는 18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내일 경북 북부 지역에는 100∼200㎜ 비가 더 쏟아질 예정이다.

이연구 예천군 경진리 이장은 "비가 이렇게 계속 오면 농민들은 다 죽으라는 말이다. 농사지은 게 다 수몰됐고, 과일은 다 낙화 됐다"며 "비가 안 왔으면 하는데, 하늘이 무심해 쳐다만 보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경북에는 예천을 포함해 구미ㆍ군위ㆍ김천ㆍ상주ㆍ문경ㆍ안동ㆍ영주ㆍ의성ㆍ영양 평지ㆍ봉화 평지ㆍ경북 북동 산지에 호우경보가 발효됐다.

또 성주, 칠곡, 청송, 울릉도, 독도에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졌다.

대구기상청은 "재해가 이미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 지역에서는 이웃과 함께 신속히 대피하는 등 즉시 안전조치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집중호우로 경북에서 16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오늘(15일) 경북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인명 피해 현황은 사망 16명, 실종 9명, 부상 2명으로 파악됐습니다. 인명피해는 경북 예천에 집중됐습니다.

사망자는 예천군 효자면 4명·은풍면 1명·용문면 2명, 영주시 풍기읍 2명·장수면 2명, 문경시 1명, 봉화군에서 4명이, 실종자 9명은 예천에서 8명, 문경에서 1명 발생했습니다.

영주시 풍기읍에서 산사태로 주택이 매몰돼 사망한 남녀는 60대와 20대인 부녀지간으로 파악됐습니다.

경북도소방본부 집계와 별개로 예천군은 이날 오후 3시 기준 8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다고 밝혔습니다.

예천군이 발표한 사망자 중 5명은 남성이며 3명은 여성입니다. 실종자 4명은 남성, 5명은 여성입니다.

지역별로 감천면 실종 4명, 효자면 사망 6명·실종 1명, 은풍면 사망 2명·실종 2명, 용문면 실종 2명입니다.

피해가 집중된 예천군에는 중앙119구조본부 전 대원과 육군 50사단·공군 16 전투비행단 소속 장병들이 동원됐습니다.

1천 500세대가 단전된 예천 효자면과 은풍면 일대는 복구까지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오늘(15일) 자신의 트위터에 “이어지는 집중호우로 안타까운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라며 “정부는 즉각적인 수해 복구에 나서고, 더 이상의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히 행정력을 총동원해주길 부탁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국가의 제1 의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라며 “과하다는 생각이 들 만큼의 빈틈없고 전격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수해를 입은 국민들을 향해서는 “조속히 재난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함께 힘 모으겠다”라고 약속했습니다. 일선 공무원들에게는 안전을 당부하면서 고맙다는 인사도 잊지 않았습니다.

민주당 박성준 대변인도 이날 소통관 기자회견에서 “기록적인 폭우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라며 “상습 침수 피해 지역과 농가를 중심으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산사태와 침수, 축대 붕괴와 댐과 하천 범람 등에 대비해 정부와 각 자치단체의 철저한 점검과 대응을 요청한다”라고 당부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은 지난해, 기록적인 폭우 피해를 잊지 못하고 있다”라며 “폭우 속에 대통령은 퇴근하고, 대통령 비서실장과 행안부 장관은 술자리를 했던 것도 똑똑히 기억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김온수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에서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충청과 경북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충북 괴산댐 범람으로 6400여 명이 긴급 대피에 나서는 등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 오전 11시 기준 폭우로 인한 사망자는 7명, 실종자 3명, 부상자 7명으로 밝혔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의 명복을 빌고, 부상을 당하신 분들의 빠른 쾌유와 실종되신 분들이 안전하게 돌아오실 수 있도록 수색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피해 상황에 따라 특별재난지역 선포 및 피해 지역 대책 마련 촉구 등 당 차원의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국민의힘은 오늘(15일) 사흘째 이어진 폭우와 관련해 "선제적인 위기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온수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을 통해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충청과 경북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충북 괴산댐 범람으로 6400여 명이 긴급 대피에 나서는 등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 오전 11시 기준 폭우로 인한 사망자는 7명, 실종자 3명, 부상자 7명으로 밝혔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부대변인은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하신 고인들의 명복을 빌고, 부상을 당하신 분들의 빠른 쾌유와 실종되신 분들이 안전하게 돌아오실 수 있도록 수색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오늘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는 폭우와 산사태에 대한 피해 복구와 관련해 군부대까지 적극적으로 지원해 구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특별 지시했다. 각 부처 또한 피해 침수지역을 성실히 점검하고 신속한 종합 복구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정부는 신속히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응급 복구 추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며 "국민의힘도 실시간으로 피해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정부의 신속한 위기 대응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피해 상황에 따라 특별재난지역 선포 및 피해 지역 대책 마련 촉구 등 당 차원의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는 "다시 한번 폭우로 인해 유명을 달리한 분들께 깊은 애도를 전하며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경북 예천·문경에서 산사태로 8명이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해 소방 등 관계기관이 수색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오늘(15일) 오전 11시 기준 인명피해는 사망 7명, 부상 7명, 실종 3명입니다.

오늘(15일) 세종시에서는 토사에 매몰돼 1명이 숨졌고 집중호우로 인한 주택 매몰로 경북 영주에서 2명이, 충남 청양에서 1명이 사망했습니다. 충북 청주에서는 도로 사면이 붕괴되면서 1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현재 실종된 사람은 3명입니다. 지난 11일 부산 사상 학장천변에서 급류에 휩쓸려 1명이 실종, 15일에는 경북 예천 계곡이 범람하면서 2명이 실종돼 아직 돌아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편 이날 호우로 인한 산사태가 발생해 예천에서 7명, 문경에서 1명이 매몰돼 소방 등 관계기관이 수색하고 있습니다.

부상자는 지난 13일에 전남 보성과 경기 용인에서 도로 토사유출로 각 1명이 발생했습니다. 어제(14일) 충북 옥천 1명, 충북 충주 1명, 충남 논산에서 2명의 부상자가 나왔습니다. 오늘(15일) 충북 청주에서 도로 사면이 붕괴하면서 1명이 다쳐 현재 입원중입니다.

어제(14일) 충남 아산 봉재저수지에서 낚시 중 발을 헛디뎌 실종된 77세 남성과 지난 11일 경기 여주 소양천 주변을 산책하다 실족사한 75세 남성은 호우가 아닌 '안전사고'로 분류돼 인명피해 집계에서 제외됐습니다.

집을 떠나 일시 대피한 인원은 오전 11시 기준 13개 시도·59개 시군구 1002세대 1567명입니다. 이 중 688세대 1114명은 집으로 아직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날 오전 6시 기준보다 4개 시군구에서 445세대 685명이 더 늘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47세대 98명, 부산 13세대 20명, 인천 3세대 4명, 광주 4세대 4명, 대전 11세대 25명, 경기 39세대 78명, 충북 34세대 100명, 충남 224세대 329명, 전북 87세대 105명, 전남 7세대 9명, 경북 527세대 788명, 경남 2세대 2명, 강원 4세대 5명입니다.

현재까지 파악된 공공시설 피해는 총 31건이 발생했습니다. 이중 도로 사면유실은 6건, 도로파손·유실 10건, 옹벽 파손 1건, 토사유출 10건, 하천 제방 유실 2건, 침수 1건입니다.

사유시설 피해는 총 71건으로, 주택 침수 22채, 주택 전·반파 1채, 어선 피해 5척, 차량 침수 63대, 옹벽파손 등 39건입니다.

정전 피해도 계속됐습니다. 경북 6개 시·군, 부산 2개 구, 전북 1개 군, 서울 3개 구, 광주 1개 구, 충남 1개 구에서 정전이 발생했으며 모두 복구를 완료했습니다.

농작물 8437.9ha와 농경지 2.5ha가 물에 잠기거나 매몰됐습니다. 벼 4006.2㏊, 콩 4155.7㏊의 농경지가 침수됐습니다.

전국에서 도로 100곳이 통제 중입니다. 또한 20개 국립공원 391개 탐방로, 하천변 산책로 698곳, 둔치주차장 190곳, 숲길 94곳 등도 통제되고 있습니다.

풍랑주의보로 여객선 운항도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현재 33개 항로에서 43척은 운항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 13일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충남 청양 512.0㎜, 전북 익산 469.5㎜, 전북 군산 450.8㎜, 충남 공주 449.5㎜, 경북 문경 426.0㎜, 세종 422.5㎜입니다.

현재 경기 남부와 강원 남부 내륙산지, 충청권, 전북, 전남권 서부, 경상 내륙 일부 지역에 호우 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시간당 20~40㎜의 매우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겠습니다.

내일(16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충청권, 전북, 전남권(남해안 제외), 경북 북부 내륙은 100~200mm(많은 곳 300mm 이상), 경기남부, 전남남해안, 경상권(경북북부내륙 제외), 울릉도·독도는 30~80mm, 서울, 인천, 경기 북부, 강원 북부 내륙·산지, 강원 동해안, 제주도 남부·산지는 10~60mm(많은 곳 80mm 이상)입니다.

앞서 행안부는 지난 13일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호우 특보가 확대되자 오후 8시 30분을 기해 위기 경보 수준을 '경계'에서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상향했습니다. 중대본도 2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인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많은 비로 지반 약화로 산사태, 토사유출 등 발생하고 있는 만큼 신속한 구조와 응급 복구 지시를 했습니다.

또한 지자체에서는 현장예찰 활동 강화 및 사전대피, 인적·물적 자원을 군부대에 요청하고 지원받아 신속한 사전통제, 주민대피 및 대응수습 활동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대전·세종·충남 지역에 이틀간 이어지고 있는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흘러내린 토사가 민가를 덮치고 도로가 끊기는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14일 충남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전날(13일) 오후 8시 17분께 서산시 동문동에서는 가로수가 넘어지면서 전신주를 덮쳐 인근 단독주택 41가구가 정전됐습니다. 사고 후 한국전력공사는 현장에 인력을 파견 2시여만에 복구했습니다.

오전 4시 59분께 부여군 내산면 지티리에서는 산사태로 흘러내린 토사가 민가를 덮쳤습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오전 4시 30분께 군수리 굴다리 침수 신고가 접수돼 복구 중입니다. 오후 2시 30분 기준 전날 자정부터 230.3㎜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공주시에서도 산사태로 도로가 유실되면서 긴급 복구 작업에 나섰습니다. 전날부터 내린 비로 계룡면 양화저수지로 가는 도로에 수목과 토사가 덮치면서 현재 차량 통행이 중지됐습니다.

또 오전 7시 19분에는 공주시 이인면에서는 축사에 비가 들어차면서 침수, 소방당국이 배수 지원에 나섰습니다. 오후 2시 40분 기준 전날 자정부터 178.0㎜ 폭우가 내리고 있습니다.

충남 논산 논산천 논산대교가 범람 위기에 놓였습니다. 논산대교 경계수위가 7.5m에 달하지만 이보다 조금 못 미치는 7.04m의 수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강홍수통제소는 14일 오후 1시 40분께 논산천 논산대교 지점에 내려진 홍수주의보를 홍수경보로 상향 발령했습니다.

앞서 이날 논산시 광석면 신당리 눈다리교차로~사월교 구간에서 하천이 범람해 차량통행이 전면 통제됐습니다.

대전 지역에서는 집중호우가 이어지면서 갑천에 내려진 홍수주의보가 홍수경보로 변경 발령됐습니다.

금강홍수통제소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50분을 기해 홍수주의보가 내려진 갑천 만년교 지점에 대해 오후 2시 20분부로 홍수경보로 변경 발령됐습니다. 경보 수위 기준인 4.11m를 넘어 4.5m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호우주의보가 발효된 세종에서 차량 침수 등의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오후 2시 40분 기준 전날 자정부터 세종시에는 147.2㎜ 강우량을 보였습니다.

전날부터 내린 많은 비로 금남면 도암 1교 교량 밑에서 차량 1대가 침수했습니다. 이밖에 도로 곳곳에서 가로수가 전도(5건)되는 등 각종 신고가 이어졌습니다.

대전지방기상청 관계자는 “많은 비로 지반이 약해져 산사태 등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라며 “저지대 침수와 하천 범람에 주의하고 발표되는 기상정보를 참고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 Recent posts